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따라 개발 수요가 늘어나면서, 많은 기업들이 개발 인력 충원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자를 채용하고 바로 개발에착수하기에 앞서, 우리 사업이 어떤 단계에 있느냐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만약 비즈니스 초기 단계이며, pmf 를찾거나 mvp 개발이 우선되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노 코드 툴 도입이 효율적인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노코드로 온라인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방법이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통해 살펴보세요. 관련글 바로가기 [노코드 툴로 온라인 비즈니스의 시작하기] 노코드(No-code)툴의 장점 속도 노코드툴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 ‘빠른 속도’로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숙련된 개발자라고 해도 직접 코딩을 하며 개발을 하는 일은시간이
코드 없는 개발, 노코드 툴사소한 일도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세상.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시대입니다. 우리는 매일 다양한 프로그램, 모바일 앱, 웹사이트 등을 사용하고, 이제 이런 소프...
PMF 달성의 진짜 의미 지난 글에서 PMF가 없는 상태로 사업을 지속하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붙기와 같이 위험한 일이 될 수 있다고말씀드렸습니다. 그렇다면 PMF 검증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는 언제일까요?이를 알기 위해서는, PMF 달성의 진짜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고객 개발 방법론을 창시한 스티브 블랭크 교수는 “문제/해결책과 최소 기능 제품(MVP)에 유의미한 반응을 보이는 고객이 해당 제품을 고객이구매한다”면 PMF를 달성했다 할 수 있다고 정의했습니다. 즉, PMF 는 우리 제품에 만족한 고객을 획득하면서 제품과 고객/시장의 궁합을지속적으로 파악해나가는 것이 PMF 달성의 진짜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PMF 검증의 핵심, 반복(이터레이션) 성공적으로 PMF에 도달하기위해서는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 : PMF 스타트업에 종사하고 있거나, 사업을 준비하고자 마음먹은 사람이라면 Product-Market Fit(PMF) 이라는 용어를 들어봤을 것입니다. Product-Market Fit 는 넷스케이프 창업자이자 유명한 실리콘밸리 VC(벤처캐피털리스트)인 마크 안데르센이 처음 사용하면서 알려지게 된 단어입니다. 그는 PMF 를 이렇게 정의했습니다. 좋은 시장에 그 시장을 만족시킬수 있는 제품을 갖고 있는 것 (Product/market fit means being in a good market with a productthat can satisfy the market.) _ Marc Andreessen 즉, 고객이 제품을 정말로 필요로 하는 상태일 때,PMF를 찾았다
최근들어 스타트업에서 실패하지 않는 프로덕트 개발을 위해 mvp, 프로토타입, 프리토타입, 린 스타트업 등 여러가지 가설 검증 방법론을 수행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직접 수행해 보면 이런 과정들 역시 생각보다 꽤 많은 리소스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가설검증에 드는 리소스 조차 줄일 수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본 글에서는 몇가지 잘 알려진 뻔한(?) 방법들과 그런 방법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안 뻔한 방법으로 리소스를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지 소개합니다. MVP 개발하기 전에 가설 검증 하기 스타트업에서 MVP 를 개발하여 프로토타입으로 실제 계획한비즈니스에 대해서 공감하는지 테스트 해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MVP 개발 하기 전에 미리 사람들에게 가설 검증을 할 수 있는몇가지 알
PG는 온라인 결제대행사로, 사업자와 여러 카드사와의 계약을 대신하고 결제 및 정산 업무를 처리합니다. PG사 심사를 통해 웹사이트가 합법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는지 확인됩니다. 준비물로는 상품 등록, 업종 확인, 사업자 정보 기재, 테스트 결제 시스템 연동 등이 필요합니다.
N잡의 시대, 많은 직장인들이 본업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영상을 찍고 편집해서 유튜버로 활동하거나,개인적인 경험을 담은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기도 하죠. 또는 다양한 곳에서 팀원을 모아 다 함께 새로운 프로덕트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오늘은직장생활이 아닌 일상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사이드 프로젝트(Side Project) 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그게 뭐죠? 사이드 프로젝트 뜻 사이드 프로젝트란 생업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비공식적인 프로젝트 단위로 지속하여 어떠한 결과물을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서 개인은 본업 이외의 수익을 만들어내거나, 자신의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 발판을 마련할 수있습니다. 사이드
랜딩페이지는 첫 방문자의 경험을 최적화하고 전환율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효과적인 랜딩페이지의 중요성과 제작 방법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우리는 먼저 랜딩페이지의 목적과 기능을 이해하고, 포털 사이트와의 차별점을 설명합니다. 이어서, 전환율을 높이는 랜딩페이지 구성의 핵심 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다루며, 잠재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서비스의 가치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모바일 반응형 랜딩페이지의 중요성
피봇의 정의와 피봇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이유, 그리고 유튜브와 슬랙과 같은 피봇 성공 사례를 소개 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타트업이 직면할 수 있는 피봇과 관련된 도전과 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며, 린 스타트업 방법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소개 합니다.
스타트업 창업을 하기로 야심차게 결정했나요? 그런데 도대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주변에 도움 받을 사람은 없고, 오로지 구글링만가능하다면? 그런 당신을 위해 스타트업 창업을 제대로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필자는 대학 시절 경영대학의 창업학회에서 팀을꾸려 교육 스타트업을 잠시나마 운영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치기 어린 활동이라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저에게는 정말 많은 것을 느끼게해주었던, 짧고 굵은 경험이었습니다. 그 당시 아무것도 모르고 했던 맨 땅에 헤딩에 울고 웃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지금은 그때의 경험을살려 스타트업 팀 웨이브온(Waveon)에서 기획을 맡아 일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타트업 관계자로서, 또 창업 경험자이자 예비 창업가로서,스타트업 창업
지난 글에서 MVP의 뜻과 MVP 테스트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많은 리소스를 투입했다가 시장에서 실패하면 스타트업은 타격을 크게 받습니다. 그래서 빠르고 가볍게 시장에서 내 핵심 ...
스타트업 창업을 하려고 보니 내가 가진 창업 아이템이 시장에 먹힐 만한 건지 모르겠다.창업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시장성에 대한 고민을 하기 마련입니다.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는데, 바로 거창한 제품이나 서...
최근 들어 에릭 리스의 린-스타트업이나 사보이아의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과 같은 책이 유명해지면서 실제로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전에 아이디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직접 서비스와 제품을 만들기 전...